식품의 비건 표시 광고 가이드라인
* 비건은 1944년 영국 비건 소사이어티의 창립 멤버 도날드 왓슨(Donald Watson)이 만든 신조어로 초창기 ‘비 유제품 채식주의’란 의미로 사용됐다. 국제 채식인 연맹에서 인정하는 채식은 ▲고기, 생선, 우유, 꿀 등의 동물성 성분이 들어간 일체의 식품을 먹지 않으면서 동물 사육을 통해 생산된 생활 전반의 제품을 소비하지 않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비건 ▲고기(두 발이나 네 발을 가진 동물의 고기), 생선, 달걀은 먹지 않고, 우유 및 유제품이 들어간 음식은 먹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락토 베지테리언 ▲고기, 생선, 우유 및 유제품은 먹지 않고, 달걀 또는 오리알 등 동물의 알은 먹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오보 베지테리언 ▲고기, 생선은 먹지 않고 동물의 알과 우유 및 유제품은 먹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락토 오브 베지테리언 등이다.
올해 세계 비건 인구는 8천800만명으로 세계 인구의 약 1.1%에 해당된다. 지난해 세계 비건 식품 시장은 160억 5천만 달러로 연평균 13.8% 성장하고 있다. 월간 비건 이향재 편집장은 비건 시장을 견인하는 두 축으로 식품과 화장품 시장을 꼽았다.
Straits Research에 따르면, 비건 푸드 시장은 2018년 142억 달러에서 2022년 164억 5천만 달러로 성장했다. 2023년부터 2031년 동안 연 평균 9.1% 성장, 2031년까지 360억원 2천만 달러로 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가장 큰 시장은 북아메리카다. 그러나 가장 빨리 성장하는 시장은 아시아다. Maximize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비건 미용 제품 시장규모는 2021~2029년 동안 연 평균 6%로 성장해 2029년에는 351억 4천만 달러로 예상된다.
이 편집장은 “연구 기관들은 올해 비건 식품 시장이 한 160억~170억 정도 성장 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면서 “비건이 가장 빨리 성장할 시장으로 대한민국이 될 것이다. 아시아 시장이 가장 빨리 성장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비건 시장에서 식품과 크게 이제 크게 두 축을 이루고 있는 것이 화장품 시장이다.2021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으로 식품보다 성장률이 조금 낮지만 6% 이상 성장할 걸로 예상되고 있다. 성장세가 가파르기 때문에 식품과 함께 비건 시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외에도 식품회사, 비건 레스토랑 또는 패스트푸드점, 비건 제품을 유통하는 유통회사, 그리고 이 세가지 산업에 종사하는 비건 관리 종사자들도 비건 사업을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처 : 컨슈머와이드(http://www.consumerwid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