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Control/Validation 밸리데이션

밸리데이션(Validation)

Horola 2021. 7. 21. 20:36

밸리데이션(Validation)

- 시험방법밸리데이션(ValidationofAnalyticalProcedure)이란?

의약품등의 품질관리를위한 시험방법의 타당성을 미리 확인하는 과정을 말한다.

- 확인시험(IdentificationTest)이란?

검체중 분석대상물질을 확인하는 시험을말하며, 일반적으로 검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스펙트럼, 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얻어지는정보, 화학적반응성 등)을 표준품의 특성과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 순도시험(PurityTest)이란?

검체중 유연물질, 중금속, 잔류 용매등 불순물의 존재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시험을 말하며 정량시험과 한도시험이있다.

- 함량또는역가시험(Asay:ContentorPotency)이란?

검체중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물질의 양 또는 역가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시험을 말한다. 즉, 원료 또는 제제 중의 주요성분(주성분, 유효성분, 생리 활성 성분)이나 특정 성분(예:안정제 또는 보존제 등 첨가제)의 함량을 측정한다. 용출 시험중의 정량 분석 과정도 포함된다.


▶특이성(Specificity)

특이성(Specificity)이란 불순물, 분해물, 배합 성분등의 혼재 상태에서 분석대상물질을 선택적으로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시험방법의 특이성이 부족 할 경우 다른 보조적인 시험 방법으로 보완 될 수있다.

확인시험, 순도시험 및 정량시험의 밸리데이션에서는 특이성이 평가되어야한다. 특이성을 입증하기위한 방법은 시험방법이 적용되는 목적에따라 다르다. 어떤 시험방법이 특정의 분석 대상 물질에대해서 특이적이고, 완벽하게 구별 할 수 있는 방법임을 입증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지는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분석 대상물질을 충분히 구별하기위해 두개 혹은 그 이상의 시험방법을 조합하는 것이 권장된다.

▶정확성(Acuracy)

정확성(Acuracy)이란 측정값이 이미 알고 있는 참값이나 표준값에 근접한 정도를 말한다.

▶정밀성(Precision)

정밀성(Precision)이란 균일한 검체로부터 여러 번 채취하여 얻은 검체를 정해진 조건에따라 측정하였을때 각각의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분산정도)을 말한다. 정밀성은 반복성(병행정밀성), 실험실내 정밀성 및 실험실간 정밀성의 세가지로 검토 될 수 있다.

- 반복성(병행정밀성,Repeatabilty)이란

동일 실험실내에서 동일한 시험자가 동일한 장치와기구, 동일 제조번호와 시약, 기타 동일 조작 조건하에서 균일한 검체로부터 얻은 복수의 검체를 짧은 시간차로 반복 분석 실험하여 얻은 측정값들사이의 근접성을 말한다. Intra-asayprecision이라고도 한다.

- 실험실내정밀성(IntermediatePrecision)이란

동일 실험실내에서 다른 실험일, 다른 시험자, 다른 기구 또는 장비등을 이용하여 분석 실험하여 얻은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을 말한다.

- 실험실간정밀성(Reproducibilty)이란

일반적으로 표준화 된 시험방법을 사용한 공동연구에 적용되는데, 서로 다른 실험실에서 하나의 동일한 검체로부터 얻은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을 말한다.

▶검출한계(DetectionLimit)

검출한계(DetectionLimit)란 검체중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을 말하며, 반드시 정량 가능 할 필요는 없다.

▶정량한계(QuantitationLimit)

정량한계(QuantitationLimit)란 적절한 정밀성과 정확성을 가진 정량값으로 표현 할 수 있는 검체중 분석대상 물질의 최소량을 말한다. 분석 대상물질을 미량으로 함유하는 검체의 정량시험이나 특히 불순물, 분해생성물 결정에 사용되는 정량시험의 밸리데이션파라미터이다.

▶직선성(Linearity)

시험 방법의 직선성(Linearity)이란 검체 중 분석 대상물질의양(또는농도)에 비례하여 일정 범위내에 직선적인 측정값을 얻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시험방법에서 정하는 모든 범위에대해 직선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표준 원액을 희석하는 방법으로 원료 의약품에대해 직접적으로 직선성을 증명 할 수 있으며 제제 구성 성분들을 개별 칭량하여 조제한 혼합물을 가지고 직선성을 증명 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은 범위 설정시에 고려 될 수 있다. 신호를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 또는 함량에대한 함수로 그래프를 작성하여 시각적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직선성이 확인 되는 경우, 최소자승법에의한 회귀직선의 계산과 같은 통계학적방법을 이용해 측정 결과를 평가한다. 분석실측치와 검체농도의 직선성을 얻기 위해서 필요시 회귀분석을 하기 전에 측정데이터를 수학적으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회귀직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직선성의 정도를 수학적으로 평가 할 때 도움이 된다. 상관계수(corelationcoeficient), y-절편, 회귀직선의 기울기 및 잔차제곱의합(residualsumofsquare)등의 결과도 기재하여야한다. 데이터에대한 그래프도 작성하여 기재하여야 한다. 실측치와 회귀직선상의 예측치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도 직선성을 평가하는데있어서 도움이 된다. 면역측정법(Immunoasay)과 같이 어떤 시험방법은 수학적변환을 하여도 직선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경우, 분석결과는 검체중의 분석대상 물질의 농도(또는함량)에대하여 적절한 함수(이론식또는근사식)로 표현한다. 직선성을 입증하기위해서는 적어도 다섯개농도의 검체를 사용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그 방법의 타당성에대한 근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직선성을 검증시에 가장 염두해 두어야 하는 것은 기질의 영향(MatrixEfect)인데,

기질의 영향(MatrixEfect)이란? 시료의 분석 대상물질 이외의 구성성분이
분석대상물질의 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범위(Range)

범위(Range)란 적절한 정밀성, 정확성 및 직선성을 충분히 제시 할 수 있는 검체 중 분석 대상물질양(또는농도)의 하한 및 상한 값 사이의 영역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범위(Range)는 직선성 평가시 결정되고, 시험 방법이 적용 되는 목적에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규정하는 범위내 또는 그 범위의 하한 및 상한 농도를 포함한 검체를 이용하여 시험 방법의 직선성, 정확성 및 정밀성을 확인함으로써 범위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완건성(Robustnes)

시험 방법의 완건성(Robustnes)이란 시험 방법의 조건이 일부 의도적으로 변경 되었을때 측정값이 영향을 받지 않는지에대한 척도를 말한다. 시험방법이 통상 사용되는동안 그 시험방법을 얼마나 신뢰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표이다.

해당 내용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있는

의약품등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해설서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s://www.mfds.go.kr/brd/m_1060/view.do?seq=1269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