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uality Control/기기분석

Ion Chromatography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by Horola 2023. 7. 17.

Ion Chromatography

 

 

Ion Chromatography 란?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의 한 분야
  • 유기, 무기이온과 중금속 등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의미
  • 종래의 무기이온 분석법으로 사용되던 습식분석법 (적정법, 비색법, 분광법, 탁도법)이나, 원자흡광 광도법(AAS), 유도결합플라즈마 원자방출 분광법 (ICP-AES)의 주요 단점이었던 낮은 재현성과 선택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으며,매우 우수한 검출한계를 보임.
  • 장점

1) 한번의 분석으로 분석 목적 성분의 분리와 정량을 동시에 분석하여 시간절약

2) 상호 간섭을 일으키는 성분의 분리와 분석이 가능

3) 사용이 간편, 많은 응용법 개발

Ion Chromatography 분리 메카니즘

고정상(Column)의 충진 물질인 고분자에 양이온 또는 음이온 교환을 위한 Functional Group을 결합시켜 놓아 여기에 Analyte (Sample)를 Injection 하면 분석 Ion이 Functional Group과 이온간의 결합력에 의해 결합해 있다가 이동상 (Eluent,예 NaOH, CH3SO3H)의 양이온이나 음이온과 경쟁력으로 치환되며 분해결합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때 Sample 안에 있는 이온들이 각각의 Ion Strength의 차이에 따라 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Ion 간의 Elute 되는 순서는 고정상의 Functional Group과의 전자친화력 차이에 의해 정해진다.

1) 이온의 세기가 클수록 늦게 검출된다.

2) 분자량의 크기가 클수록 늦게 검출된다.

Li+ > Na+ >NH3+ > K+ > Mg2+ > Ca2+

F- > Cl- > Br- > NO2- > PO4- > SO4-

Ion Chromatography 기기구성

1) 용리액은 펌프에 의해서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안으로 흐르게 된다.

2) 시료 주입부로 들어온 시료는 용리액에 밀려서 이온 컬럼으로 이동 되어진다.

3) 이온컬럼내에서 이온의 친화도에 따라 이온의 이동속도에 분리가 일어난 후 컬럼을 나간 시료와 용리액으 ㄴ서프레서를 통과하게 된다.

(서프레서는 용리액의 전도도를 낮추고 시료의 전도도를 높혀서 이온의 검출을 용이하게 만든다.)

4) 서프레서를 통과한 시료는 전도도 검출기로 이동해 전도도가 검출된다.

이 전도도는 일정 시간의 최대값을 가진 면적으로 표현되는데 최대값이 나타나는 시간을 통해 이온의 성분을 확인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