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uality Control/Validation 밸리데이션

재밸리데이션 (Revalidation)

by Horola 2023. 7. 3.

재밸리데이션은 시험방법이 특이성을 유지하며 의약품의 생체이용률과 활성 및 의약품의 확인, 함량, 품질, 순도, 역가를 계속적으로 보증할 수 있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재밸리데이션은 일반적으로 일정 주기에 따라 필요성을 평가하고 필요 시 실시한다. 또한 시험방법, 주성분의 합성경로 또는 제제 중 원료의약품의 성분과 양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실시하기도 한다. 재밸리데이션의 정도는 변경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다른 시험방법으로 대체하는 경우(예 : 적정법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대체)에는 새로운 시험방법에 대해 전체 밸리데이션(full validation)을 실시한다. 또한, 시험 중에 시험방법에 명시된 조건을 반복적으로 조정해야만 그 시험방법이 확정된 시스템적합성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면 시험방법을 재평가하고 수정하여 재밸리데이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시험방법에 대한 재밸리데이션을 검토하여야 한다.

 

가. 주성분의 제조원 또는 제조방법을 변경하는 경우

 

나. 제제의 조성을 변경하는 경우

 

 

다. 시험방법을 변경하는 경우

 

라. 자주 시스템적합성시험에 부적합한 경우

 

마. 제품 자체에는 문제가 없으나 시험결과가 품질 관리기준에 부적합한 경우

 

재밸리데이션의 범위와 정도는 어떠한 변경에 따라 어떤 밸리데이션 파라미터가 영향을 받을 것인지를 고찰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가 또는 나의 경우에는 혼입되는 불순물이나 첨가물의 조성이 변경되므로 특이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특이성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시험방법 파라미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적다고 판단되므로 다른 시험방법 파라미터를 재검토 할 필요는 별로 없다. 또한 다에서 크로마토그래프법의 시험조건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특이성을 검토하여야 하지만 정확성과 정밀성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검토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극단적으로 피크유지시간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정확성과 정밀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순도시험 등에서는 크로마토그래프법의 시험조건이 변하면 검출한계나 정량한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시험방법에서 추출용매를 바꾼 경우와 같이 밸리데이션 파라미터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변경이 있는 경우, 특이성 검토를 비롯한 전체 밸리데이션이 필요하다.

 

 

반응형

댓글